가성비의 티비 TCL 모델명 읽는방법 (보급형 고급형 하이엔드)

일전에 엘지전자 OLED 티비 모델 읽는방법이라고 암호같은 이 모델명을 해석했는데요. 최근들어서 해외여행을 가면 꼭 전자상가에 가서 삼성엘지나 다른 경쟁사들의 티비진열상태나 사람들이 얼마나 관심있게 보는지를 보는데 중국 메이드인 제조인 HISENSE나 TCL이 꽤나 많이 눈에 띄이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TCL 티비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봤습니다. 


중국 TCL TV의 모델명 읽는 법은 삼성 엘지에 비해 더 직관적입니다. 게다가 가격대가 이게 맞아? 할 정도로 저렴한 가격이라 최근 10년 동안 TCL은 TV 업계에서 대단히 빠르게 성장하면서 현재 글로벌 2위 자리에 올랐고,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계속 좁혀가고 있습니다. 사실 점유율 면에서 삼성을 잡고 1위로 오르는건 시간문제입니다. 따라서 삼성과 LG의 TV 사업부문과도 비교하여 최근 10년간의 순위와 성장률, 출하량 격차도 정리했습니다.


TCL TV 모델명 읽는 법

  • 첫 번째 숫자: TV 화면 크기(인치)를 의미합니다.

    • 예: 55C655라면 55인치 TV입니다.

  • 알파벳: 라인업을 구분합니다. (2025년 현재는 X P 라인들도 있는데 그건 아래쪽에 또 정리)

    • C: 미니 LED/QLED 고화질

    • Q: QLED 또는 QD-Mini LED

    • T: 게이밍 특화, 고주사율

    • V: 기본 LED 모델

  • 뒤따르는 숫자들:

    • 첫 번째 숫자는 시리즈 등급 (높을수록 최신, 상위)

    • 두 번째, 세 번째 숫자는 출시 연도나 세부 등급(높을수록 상위)

    • 예: 65C655 → 65(인치), C(시리즈), 6(시리즈 등급), 55(세부 등급 및 연식)

  • 마지막 알파벳(있을 경우): 판매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TCL TV 글로벌 순위 및 매출 (10년 변화)

  • TCL은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중저가 TV를 주로 생산했으나, 프리미엄 전략 전환과 북미 등 해외 시장 공략으로 급성장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런거 보면 왜 북미 특히 미국 시장이 중요한지 알 수 있고 미국이 관세를 부과한다고 막무가내식 횡포를 부려도 전세계가 꼼짝못하는지 그 절반의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미국의 소비는 그야말로 세계 경기를 이끌고 있기 때문.

  • 최근 6년간 R&D에 막대한 투자를 하여 고급화, 초대형, 미니 LED TV 등 신기술에 집중.

  • 2024~2025년 TCL은 TV 세계시장 점유율 2위, 출하량 기준 연 2천5백만대 내외, 매출 13조~14조 원 수준.

  • 2024년 기준 삼성전자와의 출하량 격차는 약 350만 대로 크게 줄었으며, LG전자와의 격차는 오히려 벌어짐. 우리에게 가전은 엘지 이렇게 인식되고 심지어 국내에서는 삼성보다 엘지가 브랜드충성도가 더 높고 실제 가격도 비슷한 스펙에 더 비싸면서도 더 인기가 많은데 글로벌리에서는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습니다.



삼성/LG와 TCL의 최근 10년 TV 시장 격차 비교

연도삼성전자 TV 출하량LG전자 TV 출하량TCL TV 출하량점유율 순위
20151위 (21.0%)2위 (약 11~14%)5위권 내외삼성 1위, LG 2위(전체)
20201위2~3위2~3위삼성 1위, LG/TCL 2~3위
2022~231위 (1660만대)2위 (1020만대)2위 (1270만대)TCL, LG, 하이센스 경합
2024~251위 (1720만대)3위 (1030만대)2위 (1370만대)TCL 점유율 16.1%, LG 12.8%, 삼성 28.3%
  • 삼성전자: 2006년 이후 19년 연속 세계 1위. 2024년 기준 매출 점유율 28.3%로 1위 유지.

  • LG전자: 세계 올레드 TV 시장 12년 연속 1위. 전체 출하량 및 매출은 TCL에게 점차 추월 또는 추격받는 추세.

  • TCL: 2020년대 들어 매년 8% 안팎의 높은 성장률로 세계 2위. 삼성과의 격차 급격히 축소, LG와는 격차 확대.



TCL 티비 모델 라인업 읽는방법 요약

  • TCL 모델명인치-등급-연식 순이고, 매우 심플함.

  • TCL은 삼성과의 출하량 격차를 5년 새 절반 이하로 줄였고, 매출·시장점유율 모두 빠르게 성장 중.

  • LG전자는 올레드 프리미엄 시장 강자지만, 전체 시장 위치는 TCL에 밀리고 있음.

  • 최근 TV 산업의 성장동력은 초대형·미니LED 등 프리미엄화, TCL의 고급화 전략이 성공을 거두며 시장구도가 변화 중


근데 TCL에서도 최상위 스트림에는 삼성 엘지의 하이엔드급과 같은 가격대로도 제품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삼성 엘지가 과거 일본 소니 파나소닉 따라잡던 그 모습이 연상되는 기시감이 드는데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암튼 TCL 상위 라인 제품들도 비슷하게 읽어주시면 되는데요.



TCL 프리미엄라인 (예시 - P7K QLED TV) 모델명 읽는 법

  • 앞자리 숫자: TV 크기(인치)를 나타냅니다.

    • 예: 65P7K → 65인치.

  • P: P 시리즈로, 일반적으로 QLED, 고성능 게이밍, 스마트 등 "프리미엄 표준형 QLED TV"를 의미합니다.

  • 7: 세부 시리즈 등급. 숫자가 높을수록 상위 등급, 최신 기술이 적용됨.

  • K: K(2024~2025년형 라인업 등), 세대 및 연식 또는 글로벌 전용 등 구분자 역할. 최근에는 등급·유통·연식 등이 혼용됨.

실제 모델 예시

  • 55P7K: 55인치, P(프리미엄 QLED), 7시리즈(상위), K(2025년형 등).


X 시리즈 신제품 모델명 구조

  • 앞자리 숫자: TV 크기(인치)

  • X: X 시리즈는 TCL의 플래그십, 프리미엄 또는 QD-Mini LED 등 최고급 사양 제품군.

  • 나머지 숫자와 알파벳: 세부 등급, 연식, 패널/프로세서 차이, 고유 기술(예: X955, X955 Max 등).


플래그십 라인업:

  • X955, X955 Max 등은 QD-Mini LED, 초고해상도, 대형 TV(최대 115인치 이상), 고성능 사운드, 최첨단 프로세서, AI 기반 화질 엔진 등 적용.



2025년 TCL TV 전체 모델명 분류

시리즈의미특성 및 타깃
X최상위 플래그십, QD-Mini LED, 대형, AI 엔진고화질·초대형·하이엔드 TV 시장
CQLED/미니LED, 중상위 등급화질·저지연·게이밍·다목적, 세부 스펙별 다양한 라인업
P프리미엄 QLED, 표준형, 유통 주력가격대비 성능·QLED·게임/스마트 기능 강화
VLED, 엔트리 기본형실속형, 가성비 중심
  • 같은 인치수, 시리즈 내에서도 숫자가 높아질수록 최신버전/스펙(예: C755<C855<X955).

  • 모델 끝 자리 알파벳은 보통 연식, 유통 시장, 채널, 언어권에 따라 유동적으로 붙습니다.



TCL의 모델명은 앞자리 인치-시리즈(P/C/X/V)-세부 등급과 출시 연식, 글로벌 버전 등의 순서로 해석되며, 플래그십(X)은 대부분 QD-Mini LED, P는 QLED 신형 프리미엄, C는 QLED/미니LED, V는 엔트리 LED라는 점을 개괄로 가지고 계시면 구매하실 때 이게 저거 같고 저게 그거 같은 헷갈림을 방지하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용도에 맞게 경제적인 구매하실 수 있을겁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